삼성 One UI 8 공개, AI 시대 개인 정보 보호 기능 강화, 폴더블폰부터

삼성 갤럭시 ONE UI 8_KEEP

삼성전자가 9일 미국 뉴욕에서 발표하는 신규 폴더블 기기에 One UI 8 정식 버전을 탑재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인공지능 기술 확산에 따른 보안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더욱 강력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신규 보안 솔루션 ‘KEEP’ 도입으로 AI 시대 개인정보 보호 강화

삼성전자는 AI 사용 확대에 따라 One UI 8에 기기 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신규 보안 솔루션인 킵(KEEP, Knox Enhanced Encrypted Protection)을 도입했다. 이 기술은 개인화된 AI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되었으며, 기기의 보안 스토리지 영역 내에서 앱별로 분리된 암호화 저장 공간을 생성한다.

킵의 핵심 기능은 암호화된 정보의 개별 보호를 통해 각 앱이 자신의 민감한 정보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통해 개인 데이터를 갤럭시 AI 외 다른 앱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보호하며, 퍼스널 데이터 엔진을 통해 학습된 사용자의 일상 패턴과 선호도 같은 민감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기기 내에만 저장되며, 갤럭시 보안 체계의 근간인 녹스 볼트를 활용한 킵의 보호를 받는다. 이를 통해 갤럭시 AI는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데이터 보안을 강력하게 유지할 수 있다.

녹스 매트릭스 기능 확장 및 위협 대응 체계 고도화

One UI 8에서는 다양한 연결 기기의 위협 탐지 및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녹스 매트릭스도 더욱 강력해진다. 기기가 심각한 위험에 처한 경우 자동으로 삼성 계정에서 로그아웃되어 삼성 계정 기반 서비스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위협 확산을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의 갤럭시 기기로 알림을 보내 사용자가 적절한 보안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기능은 AI 연결 경험이 확대되는 시대에 갤럭시를 포함한 연결 기기를 보호하고 상황 모니터링이나 알림을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양자 내성 암호 기술 확대 적용으로 보안 수준 제고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 내성 암호 기술을 도입한 바 있다. 양자 내성 암호는 양자 컴퓨터의 공격에도 안전한 첨단 암호화 기술이다. One UI 8에서는 이 기술을 ‘보안 Wi-Fi’ 기능에 신규 도입하여 공공 Wi-Fi 네트워크 이용 시에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가 대폭 강화되었다.

갤럭시 기기와 서버 간의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공공 Wi-Fi와 같은 고위험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공공장소에서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Wi-Fi 연결을 보호하는 ‘Wi-Fi 자동 보호’ 기능과 트래픽 암호화 및 익명화를 통해 추적을 방지하는 ‘개인정보 보호 강화’ 기능으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 중 네트워크 보호 기록을 실시간으로 보여주어 사용자가 개인정보 보호 현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종합적 보안 체계 구축 및 향후 전개 계획

삼성전자는 이번에 새롭게 도입한 기능 외에도 지속적인 기기 보호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갤럭시 기기의 핵심 보안 체계인 녹스 볼트를 통해 비밀번호, PIN, 생체 인식과 같은 민감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뿐 아니라 보안 위험 자동 차단과 도난당한 기기 보호 등 포괄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One UI 8은 이번 폴더블 신제품부터 적용되어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번 업데이트는 AI 기술 확산과 함께 증가하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삼성전자의 선제적 대응 전략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