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닛산이 6월 17일 제3세대로 진화한 신형 “닛산 리프(Nissan Leaf)”를 글로벌 모델로 공개했다.
“닛산 리프“는 2010년 초대 모델 발매 이래 15년간 글로벌로 약 70만 대를 판매했으며, 그 추정 누적 주행거리는 약 280억 킬로미터에 달한다. 신형 “리프”는 오랜 세월에 걸쳐 축적된 닛산의 지견을 최대한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신형 “리프”는 현재 전기차를 소유한 고객뿐만 아니라 향후 내연기관차에서 대체할 선택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항속거리의 대폭적인 향상과 충전속도 개선에 더해 전기차가 생활의 일부로서 라이프스타일을 충실하게 만드는 기술을 탑재하고 있다.
신형 “리프”는 2025년 가을 미국에서 판매 개시를 예정하고 있으며, 기타 지역에서도 순차적으로 전개해나갈 예정이다.
새로운 디자인 언어와 공력성능

신형 “리프”는 “타임리스 재패니즈 퓨처리즘”이라는 닛산의 디자인 랭귀지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심플하면서도 힘차고 모던한 표현을 통해 일본 고유의 미의식을 디지털 시대에 매치되는 디자인을 목표로 했다.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의 다양한 곳에 “II三 패턴”이 각인되어 있다. 이 패턴은 제3세대가 되는 “리프”의 새 시대를 장난기 있게 신선한 에너지로 표현하고 있다.

패스트백과 같은 실루엣, 플러시 도어 핸들, 공력을 고려하여 디자인된 휠, 플랫한 언더바디에 의해 공기저항계수는 일본·미국 사양에서 0.26, 유럽 사양에서는 더욱 우수한 0.25를 달성하고 있다.
인테리어와 쾌적성
CMF-EV 플랫폼에 의해 실내는 플랫한 플로어와 개방감 있는 앞좌석 발밑 공간을 실현하고 있다. 12.3인치 또는 14.3인치의 듀얼 스크린을 통합한 모노리스 스타일의 디자인을 채용했다.

일부 트림에서는 보스 퍼스널 플러스(Bose Personal Plus) 프리미엄 오디오를 탑재한다. 또한 닛산으로서는 처음으로 조광 파노라믹 글라스 루프를 채용했다.

전자조광 기술에 의해 글라스의 투명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실내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버튼 하나로 조정할 수 있어, 연중 쾌적한 실내환경을 실현한다.
파워트레인과 주행성능
새로 개발된 3-in-1 전기차 파워트레인은 기존 모델보다 10% 소형화되었다. 또한 새로운 고강성 모터 마운트에 의해 모터의 진동을 기존 대비 75% 저감했다.
일상 운전의 안심감을 높이기 위해 일부 지역에서는 전방차량과의 거리를 자동조정하는 “인텔리전트 디스턴스 컨트롤”도 탑재하고 있다.
배터리와 충전성능
수냉식 리튬이온 배터리는 2종류가 준비되어 있으며, 최고출력·최대토크는 52kWh 사양이 130kW/345Nm, 75kWh 사양이 160kW/355Nm이다.
신형 “리프”에는 차재 충전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가온하는 등 자동차 전체의 냉열 시스템을 일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특히 한랭시의 회생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과 연동한 내비링크 배터리 컨디셔닝도 채용함으로써 주행루트에 따라 배터리 온도를 최적화한다.
미국 사양의 75kWh 배터리 탑재 모델은 EPA 기준으로 최대 303마일의 항속거리를 실현했다. 또한 북미충전규격 커넥터를 채용하고 있어 테슬라의 슈퍼차저에도 대응 가능하다.
신형 “리프”에는 최대 150kW의 급속충전에 대응한 포트가 탑재되어 있다. 150kW 급속충전기에 접속한 경우 10%에서 80%까지 최단 35분으로 충전할 수 있다.
신형 닛산 리프에 적용한 첨단 기술
신형 “리프”는 일상 운전의 안심감을 높이기 위한 선진적이고 혁신적인 운전지원기술을 다수 탑재했다. 선진 카메라 기술을 사용한 “인텔리전트 어라운드뷰 모니터”는 혼잡한 도시환경에서도 드라이버의 안심감을 제공한다.
신형 “리프”는 제로 에미션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에 더해 “V2L” 기능을 통해 재해시나 아웃도어 액티비티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서포트한다. 미국 사양에서는 실내와 화물실에 각각 120V 콘센트를 탑재하고 있어 합계 최대 1,500W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어 캠핑 등의 아웃도어 신에서 전화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본 사양에서는 “V2H” 기능도 계속 채용되고 있어, V2H 기기와 접속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에서 가정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태양광발전의 전력을 차량에 축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럽 사양에서는 장래적으로 V2G에도 대응을 예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동차에 저장한 전력을 전력망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에너지 비용 절감과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에 기여한다.
신형 “리프”는 일본의 도치기 공장과 영국 북동부의 선더랜드 공장에서 생산된다. 가격 등의 상세내용은 판매개시 시기에 맞춰 각 시장에서 발표될 예정이다.